제 3 장  변전 설비공사

1 변전설치공사

3 - 1 22kV 변압기 설치 (2005년 보완)

img401.gifimg1.gif

【해 설】

① 단상기준으로 소운반, 점검, 결선 및 Megger Test 포함

② 옥외, 지상 인력작업 기준

③ 옥내 설치는 120%, 3상은 130%

④ 15,000kVA는 10,000kVA의 120%

⑤ 20,000kVA는 10,000kVA의 150%

⑥ 장비를 사용할 때는 운반설치, 라디에이터 조립, 콘서베이터 조립, 붓싱 조립 및 각 부분품 조립품

의 3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 별도 가산.

⑦ 몰드변압기도 이 품을 적용(다만, OT 처리품 제외)

⑧ 3.3 ~6.6kV 건식 또는 거치형은 해당 공종의 60% 적용

⑨ 구내 이설은 150%

⑩ 철거 50%, 1000kVA 이상의 재사용 철거 80%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 

 

3 - 2 66kV 변압기 설치 (2005년 보완)

img412.gifimg422.gifimg2.gif

 

【해 설】

① 단상 옥외설치 기준으로 소운반, 점검, 결선 및 Megger Test 포함

② 옥내설치는 120%, 3상은 130%

③ 3권선 변압기는 105%, OLTC(Onload Tap Changer)도 105%

④ 장비를 사용할 때는 본체정치 및 준비, 상부커버 조립, 라디에이터 조립, 콘서베이터 조립, 붓싱 설

치접속 및 각 부분품 조립품의 3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를 별도 계상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 

3 - 3 154kV 변압기 설치 (2005년 보완)

 

 

img3.gif

【해 설】

① 3상 2권선, OA형, OLTC 기준

② 인력작업 기준

③ 3권선 변압기는 105%

④ Fan Type는 라디에이터 조립품의 115%

⑤ 100MVA이상 변압기는 FOA 기준이며 라디에이터 조립에 펌프전동기 설치품 포함

⑥ 장비를 사용할 때는 본체정치 및 준비, 탱크조립, 상부커버 조립, 라디에이터 조립, 콘서베이터 조립, 붓싱 설치접속 및 각종 부분품조립품의 35%로 하고 장비의    제경비를 별도 계상.

⑦ 소운반 및 포장해체 포함

⑧ 구내 이설시는 150%

⑨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4 단상 154kV 154MVA 변압기 (2006년 신설)

img4.gif

【해 설】

① 단상 2권선, OA형, OLTC 기준

② 인력작업 기준

③ 3권선 변압기는 105%

④ Fan Type는 라디에이터 조립품의 115%

⑤ 장비를 사용할 때는 본체정치 및 준비, 탱크조립, 상부커버 조립, 라디에이터 조립, 콘서베이터 조립, 붓싱 설치접속 및 각종 부분품조립품의 35%로 하고 장비의    제경비를 별도 계상.

⑥ 소운반 및 포장해체 포함

⑦ 구내 이설시는 150%

⑧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 

3 - 5 단상 345kV 100MVA 변압기 (2005년 보완)

img5.gif

【해 설】

① 단상 2권선, OA형(FOA 용량은 167MVA) 기준으로 소운반 및 포장해체 포함

② 3상, 345kV 200MVA는 140%, 300MVA는 170%, 400MVA는 180%, 500MVA는 190%, 600MVA는 200%

③ 인력작업 기준

④ 3권선 변압기는 105%, OLTC도 105%

⑤ Fan Type는 라디에이터 조립품의 115%

⑥ 장비를 사용할 때는 본체정치 및 준비, 상부커버 조립, 라디에이터 조립, 콘서베이터 조립, 붓싱설 치접속 및 각종 부분품 조립품의 3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를    별도 계상.

⑦ 3상은 130%

⑧ 구내 이설시는 150%

⑨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해당분품에 한함)

3 - 6 154kV, 3상 30/40MVA FOW형 변압기 (2005년 보완)

img6.gif

【해 설】

① 3상 2권선 OLTC FOW형으로서 옥내설치 인력작업 기준

② 장비를 사용할 때는 본체정치 및 준비, 상부커버 조립, 열교환기 설치, 붓싱 설치접속 및 각종 부분품 조립품의 3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를 별도 계상

③ 옥내 지하에 설치시는 130%

④ 구내 이설시는 150%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7 애자형 변류기 설치 (2005년 보완)

img7.gif

【해 설】

① 단상기준 1,2차측 결선, Megger Test 점검 등을 포함

② 장비를 사용할 때는 소운반, 포장해체 및 준비와 본체 설치품의 3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를 별도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기타 특별한 변류기는 이와 가장 유사한 종류의 품을 적용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8 애자형 계기용 변압기 및 C.P.D 설치(2005,2006년 보완)

img8.gif

【해 설】

① 통신용 C.P.D도 본품 적용

② 단상기준 1,2차측 결선, Megger Test 점검 등을 포함

② 장비를 사용할 때는 소운반, 포장해체 및 준비와 본체 설치품의 3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를 별도계상

④ 구내 이설은 150%

⑤ 기타 특별한 변류기는 이와 가장 유사한 종류의 품을 적용

⑥ 66kV는 154kV 해당품의 70%, 23kV는 154kV 해당품의 40%

⑦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9 22k급 진공차단기 (2005년보완)

img9.gif

【해 설】

① 구내 이설은 150%

② 철거는 50%

3 - 10 154kV급 가스차단기 (2005년 보완)

img10.gif

【해 설】

① 3상 옥외설치 기준

② 장비를 사용할시는 해체운반 및 설치준비, 지지애자 조립, 조작함 조립품의 3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를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11 154kV GCB(Dead Tank Type) 기게화설치(2005년 보완)

img11.gif

【해 설】

① 3상(50kA : 3상 분리가대) 옥외설치 기준임

② 해체운반 및 본체설치, 붓싱설치, 제어함 설치, 공기압축기설치는 장비(35톤 트럭크레인)사용을 기준으로 하고 기계장비의 경비(기계손료, 운전경비,수송비)는 별    도 계상하며, 제1장의 기계시공 및 기계경비 산정 적용

③ 여기서 제어용 케이블 포설 및 결선은 차단기 상호간 및 현장제어반간 결선작업이며, 원격제어용케이블 포설은 별도 계상

④ 31.5kA(1 Tank : 3상 일괄가대)는 해당품의 60%

⑤ 구내 이설은 150%

⑥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12 345kV급 가스차단기 설치(2005년 보완)

img12.gif

【해 설】

① 3상 옥외설치 기준

② 장비를 사용할시는 해체운반 및 설치준비, 지지애자 설치, 조작함 설치품의 3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를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13 345kV CGB(Dead Tank Type)기계화 설치(2005년 보완)

img13.gif

【해 설】

① 3상(40kA : 3상 분리가대) 옥외설치 기준

② 해체운반 및 본체설치, 붓싱설치, 제어함 설치, 공기압축기설치는 장비(35톤 트럭크레인)사용을 기준으로 하고 기계장비의 경비(기계손료, 운전경비,수송비)는 별    도 계상하며, 제1장의 기계 시공 및 기계경비 산정 적용

③ 제어용 케이블 포설 및 결선은 차단기 상호간 및 현장제어반간 결선작업이며, 원격제어용 케이블 포설은 별도 계상

④ 구내 이설은 150%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14 원방 조작형 선로 개폐기 설치(2005년 보완)

img14.gif

【해 설】

① 3상 옥외설치 기준

② 옥내설치 120%, 단상은 40%, 2상은 70% 적용

③ 154kV 4000A는 120%

④ 구내 이설은 150%

⑤ 장비를 사용할 때는 해체 소운반 및 설치준비 본체설치와 조작기구 조립품의 35%로 하고 장비의

제경비를 별도 계상

⑥ 접지장치가 부착된 품은 150%

⑦ 66kV 원방조작형 선로개폐기 설치품은 154kV 해당품의 60%

⑧ 23kV 원방조작형 선로개폐기 설치품은 154kV 해당품의 36%

⑨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15 단로기(Disconnecting Switch) (2005년 보완)

img16.gif

【해 설】

① 3상 옥외설치 기준

② 옥내설치 120%, 단상은 40%, 2상은 70% 적용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해당분품에 한함)

3 - 16 345kV급 피뢰기(2005년 보완)

img17.gif

【해 설】

① 단상 자기형 옥외설치 기준

② 구내 이설은 150%

③ 장비를 사용할 때에는 소운반 포장해체 및 설치준비와 본체 설치품의 35%로 하고, 장비의 제경비

를 별도 계상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⑤ 폴리머형의 경우 80%

3 - 17 154kV급 피뢰기(2005년 보완)

img18.gif

【해 설】

① 단상 옥외설치 기준

② 옥내설치 120%

③ 66kV급은 A Type의 60%

④ 폴리머형은 80%

⑤ 장비를 사용할 때에는 소운반 포장해체 및 설치준비와 본체 설치품의 35%로 하고, 장비의 제경비

는 별도 가산

⑥ 구내 이설은 150%

⑦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18 22kV급 피뢰기(2005년 보완)

img19.gif

【해 설】

154kV급 피뢰기 해설 준용

3 - 19 모선배선(전선 사용시)(2005년 보완)

img20.gif

【해 설】

① 단모선(1선)으로 재료의 소운반, 청소, 점검 등을 포함

② 내장 모선배선의 애자 설치품은 별도 계상

③ 직선 지지가선에서 지지애자 설치품은 별도 계상

④ 전선분기는 전선의 도중 분기하는 경우임

⑤ 작업높이 기준(고소할증률 포함)

img21.gif

⑥ 사용전선 기준⑦ ACSR도 본품 준용

img22.gif

⑧ 복도체인 경우는 180%

⑨ 철거 50%

⑩ 기기단자 접속품은 단자처리할 때만 적용

⑪ 사용애자 개수기준

345kV 현수애자 20~22개

장간애자 3개

154kV 현수애자 9~11개

장간애자 2개

3 - 20 모선배선(동광, 동봉 및 Al관 사용시)(2005년 보완)

img23.gif

【해 설】

① 동관, 동봉, Al관의 소운반, 청소, 점검 등을 포함

② Support Clamp Coupler 및 기타 철물류 설치 포함

③ 동관, 동봉, Al관의 가공, 절단, 수평잡기 기타 등 포함

④ 작업높이 기준은 모선배선(전선 사용시) 준용

⑤ 철거 50%

3 - 21 모선 배선(동대, 알루미늄대 사용시) (2005년 보완)

img24.gif

【해 설】

① 동대 및 알미늄대, 소운반, 청소 가공, 절단, 수평잡기 등을 포함

② Support Clamp Coupler 설치를 포함

③ 굽힘 전방향은 두께방향 품의 130%

④ 철거는 50%

3 - 22 상비분리식 밀폐형 모선 (2005년 보완)

img25.gif

【해 설】

① 상분할 및 상분리식 밀폐형모선 해설 준용

3 - 23 상분할 및 상분리식 밀폐형 모선 (2005년 보완)

img26.gif

【해 설】

① 3상기준, 먹물치기 지지철물류취부 Duct 접속, 수평조정, 도체접속 등을 포함하며 구내의 소운반

포함

② 옥내용 기준이며, 옥외용은 110%

③ 모선 및 외함의 재질에 관계없이 공히 적용

④ 직선부분의 천정높이 4m 이하 수평으로 Hanging 할 경우이며 벽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는

90%

⑤ 비계목이 필요할 경우는 별도 계상

⑥ 옥외용 Bus Duct의 지지가대 설치품은 별도 가산되며 옥외 기기가대 품을 적용

⑦ Al도체를 용접하여 접속할 경우는 특수용접품을 별도 계상

⑧ 부속품 설치품은 다음과 같다.

㈎ Elbow - 직선품의 3m분

㈏ Offset - 직선품의 5m분

㈐ T형 분기 - 직선품의 5m분

㈑ 십형 분기 - 직선품의 5m분

⑨ 철거 50%

3 - 24 철구 및 기기가대 조립 설치 (2005년 보완)

img27.gif

【해 설】

① 구내운반, 재료분류, 하부재의 정치작업 포함

② 기초 흙파기, 거푸집, 콘크리트작업은 별도 계상

③ 강재현장 가공시 구멍뚫기 품(Hand Drill 사용)

   지상작업시 ø22㎜ 이하 개당 변전전공 0.01인

   주상작업시 ø22㎜ 이하 개당 변전전공 0.07인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

3 - 25 애자 및 Bushing 관통 (2005년 보완)

img28.gif

【해 설】

① 소운반, 청소, 점검, Megger Test 등을 포함

② 모선 지지주는 기초를 포함하지 않으며 수평, 수직맞추기를 포함

③ Bushing 관통 설치할 때 관통벽은 Concrete 12㎝를 기준한 것으로 15㎝일 경우는 130%, 20㎝일 경우는 180%, 25㎝일 경우는 250%

④ 작업높이는 모선배선 조건과 동일함

⑤ 사용전선은 모선배선 조건과 동일함

⑥ 애자개수는 모선배선 조건과 동일함

⑦ 지지애자의 전압별 수량은 다음과 같다

   154 kV 4개

   22 〃 1개

3 - 26 전력용 콘덴서 설치 (2005년 보완)

img29.gif

【해 설】

① 소운반 설치 Megger Test 점검, 해체, 청소 등을 포함

② 기초 가대 및 모선배선은 포함되지 않음

③ 가대 또는 Concrete 기초 위에 설치하는 것임

④ 22kV 설치시 장비는 25t 트럭크레인 사용기준이며, BANK 단위

⑤ 154kV 설치시 장비는 10t 트럭크레인 사용기준

⑥ 철거 50%, 재사용철거 80% 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27 방전 Coil(2005,2006년 보완)

img30.gif

【해 설】

① 전력용 콘덴서 해설 ①, ②, ③참조

② 설치 전 소운반, 포장해체 포함

③ O.T 처리를 할 경우는 다음 공량을 가산

   •22kV …… 변전전공 0.2인, 보통인부 0.2인

   •154kV …… 변전전공 0.4인, 보통인부 0.4인

④ 철거 50%, 재사용철거 80%

⑤ 단일 수전설비 공사시 20% 가산 

3 - 28 직렬 Reactor (2005,2006년 보완)

img31.gif

【해 설】

① 전력용 콘덴서 해설 참조

② 단일 수전설비 공사시 20% 가산

3 - 29 전력용 콘덴서 뱅크용 저항기 (2005년 신설)

img32.gif

3 - 30 철재류 가공 조립 (2005년 보완)

img33.gif

【해 설】

① 소재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아연도는 별도 계상

② 구내 소운반, 구멍뚫기, 리벳팅을 포함

③ 사용장비손료, 자재할증, 소모자재, 내부기기류 설치, 도장공사는 별도 계상

④ 실가공 및 조립물량 기준

⑤ Rack, Duct, Shaft, Bracket, Support, 각종 Pole 및 조명탑 등의 완제품 설치시는 현장작업의 25%,

이 경우 설치품은 철공은 변전전공, 용접공은 비계공으로 계상

⑥ 공장 가공시는 공장간접비를 별도 계상

⑦ 시장가격이 형성되어 있는 품목은 제외

⑧ 철거는 50%

img34.gif

【해 설】

Fillet 용접, 용접장 40m/톤 기준

3 - 31 Checkered Plate제작 설치

img35.gif

【해 설】

① 발,변전소 구내의 Duct Cover 제작 및 설치 기준

② 완제품 설치시 재료 및 기타손료는 계상치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정 계상

③ 철거 50%

3 - 32 Cable Cleat 설치

img36.gif

【해 설】사용 케이블의 공칭전압에 따라 케이블공 직종을 구분 적용

3 - 33 배전반 설치 (2005,2006년 보완)

img37.gif

【해 설】

① 완제품 설치 기준

② 이면반이 있을 경우 150%

③ 포장해체, 청소, 시험, 조정, 내부결선 점검 포함

④ 제어 Cable 배선 결선은 제외

⑤ 이설 140%

⑥ 원방제어반은 무인변전소 제어용임

⑦ 모자이크형 배전반은 본품에 준함

⑧ 기설 배전반의 제어 케이블 분리 및 결선(시험 포함) 필요시는 다음 해당품 적용

   • 345kV급 - 분리 : 변전전공 3.48인

             - 결선 : 변전전공 11.12인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보통인부 3.98인

   • 154kV급 - 분리 : 변전전공 3.10인

             - 결선 : 변전전공 6.30인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보통인부 2.86인

   • 22kV급은 154kV급 해당품의 70%

⑨ 철거 40%

⑩ 단일 수전설비 공사시 20% 가산

3 - 34 배전반 계기류 설치 (2005,2006년 보완)

img38.gif

【해 설】

① 계기 및 계전기는 구멍뚫기 가공 포함

② 계기 및 계전기 매입 삽입형은 200%

③ 이면배선은 배선 Binding, 단말처리, 직선접속,배선 Check 포함

④ 저압애자 설치시 개당 변전전공 0.028인 적용

⑤ 철거 50%

⑥ 단일 수전설비 공사시 20% 가산

3 - 35 Cubicle 설치 (2005,2006년 보완)

img39.gif

【해 설】

① 소운반 , 청소, 시험, 조정 내부결선 등을 포함

② 계기, 계전기, 내부기기와 완전히 취부된 상태에 있는 설치기준

③ 조작 Cable 포설결선은 불포함

④ 기계설치공은 공기식 제어장치 설치에만 계상

⑤ Thyrister는 440V Cubicle품 준용

⑥ 이설 140%

⑦ 철거 30%, 재사용 철거 40%

⑧ 단일 수전설비 공사시 20% 가산

3 - 36 축전지 설치 (2005년 보완)

img40.gif

【해 설】

① 기초대를 일열 일단으로 하여 설치

② Rack, Duct설치, 배관 및 배선은 별도 계상

③ 2조를 동시 동일장소에 설치할 경우는 180%

④ 이설은 140%

⑤ 단위에 있어 조당이라 함은 개수에 상관없이 소요전압을 얻을 수 있는 수량을 합계한 것임

⑥ Dry Charge형 축전지의 경우 밀폐형의 60%

⑦ 1500AH는 1000AH 품의 130%, 2200AH는 170%, 4400AH는 200%

⑧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.

3 - 37 Battery 충전장치 설치 (2005,2006년 보완)

img41.gif

【해 설】

① 소운반, 포장해체, 점검 및 자체시험 등을 포함

② FC형 또는 SID 등에 부설되는 배전함 또는 제어반은 배전반 설치공정에 준하여 가산.

③ 배관, 배선 품은 별도 계상

④ 철거 40%, 재사용 철거 80%, 이설 140%

⑤ 단일 수전설비 공사시 20% 가산

3 - 38 접지공사 (2005,2006년 보완)

img42.gif

 【해 설】

① 접지선 연결, 접지저항 측정 포함

② 접지봉은 전주건주를 위하여 이미 굴착된 지하부분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을 기준, 단, 기설전주에 접지봉 추가시설 및 보강시 지반굴착은 별도 계상

③ 철거는 50%, 동판, 동봉을 버리는 경우는 전공품의 10%

④ 동일장소에 접지판을 2매 이상을 동시에 매설할 경우 1매 증가마다 30%씩 가산, 또한 저감제 사용시는 1개소 또는 1매당 30%를 가산.

⑤ 접지선 부설은 CP주 설치를 기준한 것이며 목주는 120%, 기설 CP주는 150%

⑥ 완철접지는 접지하지 않는 전주에서 완철과 중성선을 연결하는 접지를 말함

⑦ 접지선 매설시 굴착, 되메우기, 잔토처리는 별도 계상

⑧ 지세별 할증률 적용

⑨ 접속 및 단자설치는 접지선 매설시 접지모선과 접지분기선의 접속 및 단자설치에 한하여 적용

⑩ 전공은 변전설비의 접지공사시는 변전전공, 전주 및 배선설비의 접지공사시는 배전전공(전철설비포함), 옥내설비의 접지공사시는 내선전공, 신호설비의 접지공사시는 철도신호공 적용

⑪ 접지선을 Cable Rack, Duct 및 전선관으로 옥내 설치시는 150%

⑫ 접지봉 3본 연결을 초과한 1본 연결 증가마다 전공 0.07인, 보통인부 0.05인을 별도 가산

⑬ 탄소봉 매설시 대형접지전극(50㎏기준) 10㎏증가마다 10%씩 가산

3 - 39 보링접지 신설

가. 대지고유저항 측정 및 분석

img43.gif

【해 설】

① 대지고유저항 측정은 접지매설지점 기준으로, 단위 “Point"는 측정장비 위치에서 양쪽 방향으로 각각0.5~50m의 범주에서 보조전극(P1,P2,C1,C2) 20개소에 대한 측    정품임

② 본품은 접지설계를 위한 웨너(Wenner)의 4전극법 방식의 대지고유저항 측정품임

③ 동일장소에서 1Point이상 측정시 추가측정 Point는 측정품의 50% 적용

④ 전공은 변전설비의 접지공사시는 변전전공, 전주 및 배선설비의 접지 공사시는 배전전공(전철설비 포함), 옥내설비의 접지공사시는 내선전공, 신호설비의 접지공사    시는 철도신호공 적용

 

나. 매설품 탐지

img44.gif

【해 설】

① 맨홀의 매설물 탐지는 보링(천공)전 맨홀내부의 환기를 위한 송풍, 양수․침전물 제거, 맨홀바닥의 코아드릴링(φ200) 및 맨홀 하단의 매설물 수작업 확인을 위한    굴토와 탐치봉 확인품이 포함되었음

② 맨홀외 매설물 탐지는 맨홀이외의 장소(평탄지, 도심, 야산지 등)로서 전기, 통신, 가스, 상․하수도 등 의 지하매설물 및 도면 확인품으로 굴토,탐침봉 확인품 포    함

③ 기계장비 사용시는 기계경비(기계손료, 운전경비, 수송비)추가 계상

④ 이품의 전공은 가항 해설 ④번 참조

 

다. 기계기구 설치

img45.gif

【해 설】

① 본품은 육상, 평지부를 기준한 것이므로 지형, 지물 등 현장조건에 따라 가산할 수 있다.

② 조사개소 이동을 위한 소운반은 포함되지 않았음

③ 수상작업시(축도, 선박, 가잔교 시설등)에는 육상으로부터의 거리, 수심, 풍랑, 조수차 등의 상황을 고려별도 계상한다

④ 지장물 보상은 별도 계상한다

⑤ 잡재료는 별도 계상한다

⑥ 조사개소의 좌표측량, 수준 측량, 기타 지형지물 등 현장조건에 따라 필요한 제반 측량은 측량 품셈에의한다

⑦ 1개소당 작업장 넓이는 20m 2내외로 한다

⑧ 이품의 전공은 가항 해설 ④번 참조

 

라. 보링(천공)

img46.gif

【해 설】

① 본품은 보링접지를 위한 고성능착정기 지하 천공품으로 천공 직경(Φ75, 100, 150, 200) 및 깊이에 따라해당품 적용

② 천공은 보통토사 기준으로 보통암은 본품의 90%, 모래층은 110%, 자갈층은 160%, 호박돌층은 260%적용

③ 고성능착정기, 발전기의 기계경비(기계손료, 운전경비, 수송비)는 별도 계상

④ 케이싱 설치는 필요시 천공된 공벽유지를 위한 별도의 철관 삽입 공정으로 절단 및 용접품 포함

⑤ 폐기물 처리는 별도 계상

⑥ 이품의 전공은 가항 해설 ④번 참조

 

마. 저감제 주입 및 접지저항 측정

img47.gif

【해 설】

① 접기전극(봉) 설치공정은 중공관(속이 빈 관)과 접지전극 설치 및 용접 공정임.

② 접지선 인출은 접지전극(봉)에서 접지설비까지의 접지선(GV) 포설품으로 압착단자 처리 및 관로내 포설공정이며, 터파기는 별도 가산

③ 저감제 주입은 보링직경 Φ200을 기준하였으며, Φ150은 본품의 90%, Φ100은 80%, Φ75는 75% 적용

④ 기계경비(기계손료, 운전경비, 수송비)는 별도 계상

⑤ 이품의 전공은 가항 해설 ④번 참조

 

3 - 40 Plant Sequence Check (2005,2006년 보완)

img48.gif

【해 설】

기간은 시운전 기간임

 

3 - 41 정류기설치 (2005년 보완)

img49.gif

【해 설】

① 조작반 기초, 접지, 시험 불포함

② 철거 50%

3 - 42 22.9kV GIS 가공 MAIN BAY (2005년 신설)

img50.gif

【해 설】

① 25.8kV 25kA 이하 GIS 3상 1BAY 설치기준이며, 옥내 설치 기준

② 인력시공품임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

3 - 43 22.9kV GIS BUS-TIE BAY (2005년 신설)

img51.gif

【해 설】

① 25.8kV 25kA 이하 GIS 3상 1BAY 설치기준이며, 옥내 설치 기준

② 인력시공품임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

3 - 44 22.9kV GIS D/L, S.TR BAY (2005년 신설)

img52.gif

【해 설】

① 25.8kV 25kA 이하 GIS 3상 1BAY 설치기준이며, 옥내 설치 기준

② 인력시공품임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

3 - 45 22.9kV GIS D/L P.T (2005년 신설)

img53.gif

【해 설】

① 3상 일괄형은 25.8kV 25kA 이하 GIS 3상 1BAY, 3상 분리형은 단상 1대 설치기준임

② 옥내 설치, 인력시공 기준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

3 - 46 22.9kV GIS BUS-SEC BAY (2005년 신설)

img54.gif

【해 설】

① 25.8kV 25kA 이하 GIS 3상 CB ×1, DS × 2, ES × 2, 옥내 설치, 인력 시공 기준

② 인력시공품임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

3 - 47 22.9kV GIB BAY (2005년 신설)

img55.gif

【해 설】

① 25.8kV 25kA 이하 GIS 3상 1BAY, 옥내 인력 설치 기준

② 구내 이설은 150%

③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

3 - 48 22.9kV GIS DURESCA CABLE (2005년 신설)

img56.gif

 【해 설】

① 25.8kV 25kA GIS와 GUS DUCT 연결 설치 기준

② 3상 설치 기준

③ 전력 CABLE 입상 HOLE 마감처리는 별도계상

④ 지지가대 및 GAS 처리 포함

⑤ 구내이설은 150%

⑥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

3 - 49 22.9kV GIS CABLE(PLUG형) 단말처리 (2005년 신설)

img57.gif

【해 설】

① 25.8kV 25kA GIS 전력 CABLE 단말처리 기준

② 3상 설치 기준

③ 전력 CABLE 입상 HOLE 마감처리는 별도계상

④ CABLE 지지가대 설치 포함

⑤ 구내이설은 150%

⑥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

3 - 50 154kV GIS 가공 T/L BAY (2005,2006년 보완)

img58.gif

【해 설】

① 154kV 50kA 이하 GIS 3상 1BAY 설치기준이며,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장비 사용시는 해당품의 4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해당)

3 - 51 154kV GIS T/L 상부 BUS BAY (2005년 보완)

img60.gif

【해 설】

① 154kV 50kA 이하 GIS 3상 1BAY 설치기준이며,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장비 사용시는 해당품의 4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52 154kV GIS 지중 T/L BAY (2005년 보완)

img61.gif

【해 설】

① 154kV 50kA 이하 GIS 3상 1BAY 설치기준이며,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장비 사용시는 해당품의 4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53 154kV GIS T/R BAY (2005년 보완)

img62.gif

【해 설】

① 154kV 50kA 이하 GIS 3상 1BAY 설치기준이며,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장비 사용시는 해당품의 4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54 154kV GIS BUS TIE BAY (2005년 보완)

img63.gif

【해 설】

① 154kV 50kA 이하 GIS 3상 1BAY 설치기준이며,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장비 사용시는 해당품의 4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55 154kV GIS T/R 상부 BUS BAY (2005년 보완)

img64.gif

【해 설】

① 154kV 50kA 이하 GIS 3상 1BAY 설치기준이며,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장비 사용시는 해당품의 4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56 154kV GIS P.T BAY (2005년 보완)

img65.gif

【해 설】

① 154kV 50kA 이하 PT×3, BUS×2 (이중모선), 3상 설치 기준이며,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BUS ES 설치 포함

③ 장비 사용시는 해당품의 4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④ 구내 이설은 150%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57 154kV GIS BUSHING (2005년 보완)

img66.gif

【해 설】

① 154kV 50kA 이하로 BUSHING 단상 설치기준이며,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장비 사용시는 해당품의 4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58 154kV GIS GIB BAY (2005년 보완)

img67.gif

【해 설】

① 154kV 50kA 이하 GIS 3상 1BAY 설치기준이며, 옥내 옥외 모두 적용

② 장비 사용시는 해당품의 4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 

3 - 59 GIS BASE CHANNEL (2005년 보완)

img68.gif

【해 설】

① 모든 전압급 GIS Base Channel 설치기준,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장비 사용시는 4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60 GIS 배관(Air Gas Pipe) (2005 2006년 보완)

  img69.gif

【해 설】

① 소운반, 절단, Edge Cutting등의 배관부속작업과 기밀시험(Leak Test) 및 내압시험(Air, Gas Test)

등 포함

② 배관설치 높이 지상 4m초과마다 3% 할증

③ 옥내외에 모두 적용

④ 모든 전압급 GIS 배관설치(Air, Gas, Pipe)에 적용

3 - 61 GIS 공기압축기 (2005년 보완)

img70.gif

 

3 - 62 154kV GIS CABLE HRAD COVER (2005년 보완)

img71.gif

【해 설】

① 154kV 50kA 이하 GIS 3상 1BAY 설치기준,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장비 사용시는 해당품의 45%로 하고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63 345kV GIS CB (2005,2006년 보완)

img72.gif

【해 설】

① 345kV 4,000A 단상 CB 3대 설치기준,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1), 2), 3) 항은 장비사용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조작함 설치품에는 조작함과 본체간 제어케이블 포설 및 결선품 포함

④ 구내 이설은 150%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64 345kV GIS DB(ES) 설치 (2005년 보완)

img73.gif

【해 설】

① 345kV 4,000kA 이하 단상 DS(ES) 3대 설치기준,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1), 2)항은 장비사용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65 345kV GIS[DB(ES)+모선] 설치 (2005년 보완)

img74.gif

【해 설】

① 345kV 4,000A 이하 [3상 일괄 5.2M 모선 + DS(ES)]×3개 설치기준으로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1), 2)항은 장비사용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66 345kV GIS 주모선 Bellows 설치 (2005년 보완)

img75.gif

【해 설】

① 345kV 4,000A 이하 3상 주모선 Bellows 1개 설치기준으로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1), 2)항은 장비사용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67 345kV GIS 단상 보조모선 Bellows 설치 (2005년 보완)

img76.gif

【해 설】

① 345kV 4,000A 이하 단상 보조모선 Bellows 3개 설치기준으로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1), 2)항은 장비사용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68 345kV GIS 주모선 설치 (2005년 보완)

img77.gif

【해 설】

① 345kV 4,000A 이하 3상 일괄 주모선 5.2M 설치기준으로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1), 2)항은 장비사용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 

3 - 69 345kV GIS V.T 설치 (2005년 보완)

img78.gif

【해 설】

① 345kV 4,000A 40kA 이하 3상 일괄 주모선 및 단상 V.T 3개 설치기준으로 옥내 또는 옥외 모두

적용

② 1), 2)항은 장비사용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 

3 - 70 345kV GIS 단상 보조모선 설치 (2005년 보완)

img79.gif

【해 설】

① 345kV 4,000A 이하 4.2M 단상 3개 보조모선 설치기준으로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1), 2)항은 장비사용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345kV 4,000A 이하 3.1M 단상 3개 보조모선 설치는 75%

④ 구내 이설은 150%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71 345kV GIS 부싱 설치 (2005년 보완)

img80.gif

【해 설】

① 345kV 4,000A 40kA 이하 단상 붓싱 3개 설치기준으로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1), 2)항은 장비사용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72 345kV GIS 단상 V.T 설치 (2005년 보완)

img81.gif

 【해 설】

① 345kV 4,000A 40kA 이하 단상 V.T 3개 설치기준으로 옥내 또는 옥외 모두 적용

② 1), 2)항은 장비사용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구내 이설은 150%

④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73 765kV 변압기 200MVT 설치 (2005년 신설)

img82.gif

 【해 설】

① 단상 1Tank, FOA형 장비 사용 기준으로 소운반 및 포장 해체 포함

② OLTC 부착형은 5% 가산된 품임

③ Fan Type은 쿨러설치품의 115%

④ 상부커버 조립은 해당작업 수반시만 적용

⑤ 조작함(현장제어반, 종합제어반)설치 및 관련 제어케이블 포설품은 별도 계상

⑥ 구내이설시 150%

⑦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 (철거 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74 765kV GIS CB 설치 (2005년 신설)

img83.gif

【해 설】

① 765kV, 50kA 8000A 단상 CB 3대, 방진룸 설치 기준

② 1),2)항은 장비사용 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Base Channel, Air Gas Pipe, 공기압축기의 설치품이 필요시는 154kV GIS품 적용

④ 구내이설 150%

⑤ 현장조작함은 배전반신설품을 적용하고, 조작함과 본체간 제어케이블 포설 및 결선품은 별도 계상

⑥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 

3 - 75 765kV GIS DS(ES) 설치 (2005년 신설)

img84.gif

【해 설】

① 765kV, 50kA 8000A 단상 DS(ES) 3대, 방진룸 설치 기준

② 1),2)항은 장비사용 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기타 필요한 사항은 765kV GIS CB 설치 해설 준용

④ 구내이설 150%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 

3 - 76 765kV GIS HSGS 설치 (2005년 신설)

img2.gif

【해 설】

① 765kV, 50kA 8000A GIS 단상 HSGS 3대, 방진룸 설치 기준

② 1),2)항은 장비사용 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기타 필요한 사항은 765kV GIS CB 설치 해설 준용

④ 구내이설 150%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77 765kV GIS 모선 Bellows 설치 (2005년 신설)

img3.gif

【해 설】

① 765kV, 50kA 8000A GIS 단상 모선(주,분기,인출모선)Bellow 3개, 방진룸 설치 기준

② 1),2)항은 장비사용 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기타 필요한 사항은 765kV GIS CB 설치 해설 준용

④ 구내이설 150%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78 765kV GIS 보조 모선 설치 (2005년 신설)

img4.gif  

【해 설】

① 765kV, 50kA 8000A 이하 단상 모선(주,분기,인출모선)5m × 3개,

방진룸 설치 기준

② 1),2)항은 장비사용 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기타 필요한 사항은 765kV GIS CB 설치 해설 준용

④ 구내이설 150%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79 765kV GIS 부싱(Compo Site) 설치 (2005년 신설)

img5.gif

【해 설】

① 765kV, 50kA 8000A GIS 단상 Porcelain 붓싱 3개, 방진룸 설치기준

② 1),2)항은 장비사용 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기타 필요한 사항은 765kV GIS CB 설치 해설 준용

④ 구내이설 150%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80 765kV GIS VT 설치 (2005년 신설)

img6.gif

【해 설】

① 765kV, 50kA 8000A GIS 단상 VT × 3개, 방진룸 설치 기준

② 1),2)항은 장비사용 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기타 필요한 사항은 765kV GIS CB 설치 해설을 준용

④ 구내이설 150%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 

3 - 81 765kV GIS LA 설치 (2005년 신설)

img7.gif

【해 설】

① 765kV, 50kA 8000A GIS 단상 LA × 3개, 방진룸 설치 기준

② 1),2)항은 장비사용 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기타 필요한 사항은 765kV GIS CB 설치 해설을 준용

④ 구내이설 150%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3 - 82 765kV GIS 변압기 부싱 Head Cover설치 (2005년 신설)

img8.gif

【해 설】

① 765kV, 50kA 8000A GIS 단상 VT × 3개, 방진룸 설치 기준

② 1),2)항은 장비사용 기준으로 장비의 제경비는 별도 계상

③ 기타 필요한 사항은 765kV GIS CB 설치(품셈 3-72)해설을 준용

④ 구내이설 150%

⑤ 철거 50%, 재사용 철거 80%(철거해당분 품에 한함)

2 변전설비보수공사

3 - 83 23kV 10MVA 주변압기(3상 2권선 OA)점검 (2005년 신설)

img9.gif

3 - 84 66kV 7.5MVA 주변압기(3상 2권선 OA)점검 (2005년 신설)

 

img10.gif

3 - 85 66kV 10MVA 주변압기(3상 2권선 OA)점검 (2005년 신설)

img11.gif

3 - 86 66kV 15MVA 주변압기(3상 2권선 OA)점검 (2005년 신설)

img12.gif

 

3 - 87 66kV 20MVA 주변압기(3상 2권선 OA)점검 (2005년 신설)

img13.gif

 

3 - 88 154kV 15MVA 주변압기(3상 2권선 OA)점검 (2005년 신설)

img14.gif

 

3 - 89 154kV 20MVA 주변압기(3상 2권선 OA)점검 (2005년 신설)

img15.gif

 

3 - 90 154kV 30MVA 주변압기(3상 2권선 OA)점검 (2005년 신설)

img16.gif

 

3 - 91 154kV 40MVA 주변압기(3상 2권선 OA)점검 (2005년 신설)

img17.gif

 

3 - 92 154kV 50MVA 주변압기(3상 2권선 OA)점검 (2005년 신설)

img18.gif

 

3 - 93 154kV 60MVA 주변압기(3상 2권선 OA)점검 (2005년 신설)

img19.gif

3 - 94 154kV 80MVA 주변압기(3상 2권선 OA)점검 (2005년 신설)

img20.gif

 

3 - 95 154kV 15MVA 주변압기(단상 3권선 OA)점검 (2005년 신설)

img21.gif

3 - 96 345kV 100MVA 주변압기(단상 3권선)점검 (2005년 신설)

img22.gif

 

3 - 97 765kV 200MVA 주변압기(단상 3권선)점검 (2005년 신설)

img23.gif

【해 설】

① 765/ 345/ 23kV 200MVA 1TANK 3권선 기준

② 제작사별 차이점이 있는 것은 해당설비 적용가능분만 적용

③ 절연열화 시험(Doble Test) 병행시는 중복부분 배제

④ OLTC만 점검이 필요한 경우 해당품만 적용

⑤ 효성제 변압기의 한류리액터 점검품은 별도 계상

3 - 98 765kV 200MVA 주변압기(단상 3권선) 절연열화 시험 (Double Test) (2005년 신설)

img24.gif

【해 설】

① 표준규격의 Doble 시험장비가 없는 경우 발주자의 장비와 직원을 지원받을시에는 해당품의 50%

② 3차측 GIS 처리품과 합계품은 효성제 기준이며, 괄호안은 현대제 임

③ 기타 필요한 사항은 765kV 주변압기 보통점검 해설 준용

3 - 99 OLTC 정밀점검 (2005년 신설)

img25.gif

【해 설】

OLTC 보통점검은 변압기 보통점검에 포함

3 - 100 전위변성기(애자형) 보통점검 (2005년 신설)

img27.gif

3 - 101 전위변성기(탱크형) 보통점검 (2005년 신설)

img28.gif

3 - 102 23kV 30MVAR 3상 분로리액터 점검 (2005년 신설)

img29.gif

3 - 103 23kV 1.8MVA 단상 한류리액터 점검 (2005년 신설)

img30.gif

3 - 104 23kV 유입형 중성점접지리액터 점검 (2005년 신설)

img31.gif

3 - 105 23kV 1,000MVA 공용 GIS CB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32.gif

 

3 - 106 23kV 1,000MVA PT BAY GIS CB 점검 (2005년 신설)

 img33.gif

3 - 107 765kV GIS CB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34.gif

【해 설】

① 800kV 50kA 8000A GIS CB 단상 3대 기준임

3 - 108 765kV GIS DS(ES)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35.gif

3 - 109 765kV GIS VT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36.gif

3 - 110 23kV 765kV GIS ES+VT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37.gif

3 - 111 23kV 765kV GIS HSGS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38.gif

3 - 112 가공지선 점검 (2005년 신설)

img39.gif

3 - 113 가공지선 교체 (2005년 신설)

img40.gif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옥외철구: 경관)

【해 설】

① 154kV측 13m(경간)이하 활선상태 작업기준

② 13개 초과(1경간 추가) 마다 50%씩 가산

③ 345kV측 가공지선은 130%, 22kV측은 70%

④ 금구류 취부품은 별도 계상

3 - 114 23kV VCB 점검 (2005년 신설)

img41.gif

3 - 115 23kV 3 Tank OCB 점검 (2005년 신설)

img42.gif

3 - 116 154kV 3 Tank OCB 점검 (2005년 신설)

img43.gif

3 - 117 23kV GCB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44.gif

3 - 118 154kV Dead Tank GCB 점검 (2005년 신설)

img45.gif

3 - 119 154kV GCB 점검 (2005년 신설)

 img46.gif

3 - 120 345kV GCB 점검 (2005년 신설)

 img47.gif

【해 설】

① Dead Tank Type GCB 점검도 이 품 적용

3 - 121 24kV DS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48.gif

【해 설】

정밀점검에서 조작기구 분해점검 미시행시는 제외

3 - 122 DS(66kV 수동 조작형) 점검 (2005년 신설)

img49.gif

3 - 123 DS(66kV)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50.gif

【해 설】

① 정밀점검에서 조작기구 분해점검 미시행시는 제외하며, 괄호안의 공량 적용

3 - 124 DS(154kV 800~2,000A)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51.gif

【해 설】

① 정밀점검에서 조작기구 분해점검 미시행시는 제외하며, 괄호안의 공량 적용

3 - 125 DS(345kV 2,000~4,000A) (2005년 신설)

img52.gif

【해 설】

① 정밀점검에서 작동 불량시의 롯트조정 미시행시는 제외

3 - 126 집중 감시반 보통점검 및 정밀점검 (2005년 신설)

img54.gif

3 - 127 MCSG(23kV) 점검 (2005년 신설)

img55.gif

3 - 128 리액터(1상 600kVA) 점검 (2005년 신설)

img56.gif

3 - 129 방전코일(22kV) 점검 (2005년 신설)

img57.gif

3 - 130 방전코일(66kV) 점검 (2005년 신설)

img58.gif

3 - 131 SC(154kV 50MVAR 1BANK) 점검 (2005년 신설)

img59.gif

3 - 132 SC(23kV 278kVA CELL)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60.gif

3 - 133 SC(23kV 334kVA CELL)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61.gif

3 - 134 SC(23kV 417kVA CELL)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62.gif

3 - 135 SC(23kV 556kVA CELL) 점검 (2005년 신설)

 img63.gif

3 - 136 SC(23kV 625kVA CELL)) 점검 (2005년 신설)

img64.gif

3 - 137 SC(23kV 695kVA CELL) 점검 (2005년 신설)

 img65.gif

3 - 138 SC(23kV 835kVA CELL) 점검 (2005년 신설)

 img66.gif

3 - 139 LA(345kV)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67.gif

3 - 140 LA(154kV)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68.gif

3 - 141 LA(66kV)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69.gif

3 - 142 LA(23kV) 점검 (2005년 신설)

img70.gif