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. 대지고유저항
측정 및 분석

【해 설】
① 대지고유저항 측정은
접지매설지점 기준으로, 단위 “Point"는 측정장비 위치에서 양쪽
방향으로 각각0.5~50m의 범주에서 보조전극(P1,P2,C1,C2) 20개소에 대한
측 정품임
② 본품은 접지설계를
위한 웨너(Wenner)의 4전극법 방식의 대지고유저항 측정품임
③ 동일장소에서 1Point이상
측정시 추가측정 Point는 측정품의 50% 적용
④ 전공은 변전설비의
접지공사시는 변전전공, 전주 및 배선설비의 접지 공사시는 배전전공(전철설비
포함), 옥내설비의 접지공사시는 내선전공, 신호설비의 접지공사 시는
철도신호공 적용
나. 매설품 탐지

【해 설】
① 맨홀의 매설물
탐지는 보링(천공)전 맨홀내부의 환기를 위한 송풍, 양수․침전물 제거,
맨홀바닥의 코아드릴링(φ200) 및 맨홀 하단의 매설물 수작업 확인을
위한 굴토와 탐치봉 확인품이 포함되었음
② 맨홀외 매설물
탐지는 맨홀이외의 장소(평탄지, 도심, 야산지 등)로서 전기, 통신,
가스, 상․하수도 등 의 지하매설물 및 도면 확인품으로 굴토,탐침봉
확인품 포 함
③ 기계장비 사용시는
기계경비(기계손료, 운전경비, 수송비)추가 계상
④ 이품의 전공은
가항 해설 ④번 참조
다. 기계기구 설치

【해 설】
① 본품은 육상, 평지부를
기준한 것이므로 지형, 지물 등 현장조건에 따라 가산할 수 있다.
② 조사개소 이동을
위한 소운반은 포함되지 않았음
③ 수상작업시(축도,
선박, 가잔교 시설등)에는 육상으로부터의 거리, 수심, 풍랑, 조수차
등의 상황을 고려별도 계상한다
④ 지장물 보상은
별도 계상한다
⑤ 잡재료는 별도
계상한다
⑥ 조사개소의 좌표측량,
수준 측량, 기타 지형지물 등 현장조건에 따라 필요한 제반 측량은 측량
품셈에의한다
⑦ 1개소당 작업장
넓이는 20m 2내외로 한다
⑧ 이품의 전공은
가항 해설 ④번 참조
라. 보링(천공)

【해 설】
① 본품은 보링접지를
위한 고성능착정기 지하 천공품으로 천공 직경(Φ75, 100, 150, 200)
및 깊이에 따라해당품 적용
② 천공은 보통토사
기준으로 보통암은 본품의 90%, 모래층은 110%, 자갈층은 160%, 호박돌층은
260%적용
③ 고성능착정기,
발전기의 기계경비(기계손료, 운전경비, 수송비)는 별도 계상
④ 케이싱 설치는
필요시 천공된 공벽유지를 위한 별도의 철관 삽입 공정으로 절단 및
용접품 포함
⑤ 폐기물 처리는
별도 계상
⑥ 이품의 전공은
가항 해설 ④번 참조
마. 저감제 주입 및
접지저항 측정

【해 설】
① 접기전극(봉) 설치공정은
중공관(속이 빈 관)과 접지전극 설치 및 용접 공정임.
② 접지선 인출은
접지전극(봉)에서 접지설비까지의 접지선(GV) 포설품으로 압착단자 처리
및 관로내 포설공정이며, 터파기는 별도 가산
③ 저감제 주입은
보링직경 Φ200을 기준하였으며, Φ150은 본품의 90%, Φ100은 80%,
Φ75는 75% 적용
④ 기계경비(기계손료,
운전경비, 수송비)는 별도 계상
⑤ 이품의 전공은
가항 해설 ④번 참조
|